[TIP] 메소드맵 StringMap 예제
·
소스모드/TIP
methodmap Player < StringMap { public Player(int id) { StringMap map = new StringMap(); map.SetValue("id", id); map.SetValue("userid", GetClientUserId(id)); map.SetValue("money", 100); return view_as(map); } property int Userid { public get() { int i; this.GetValue("userid", i); return i; } } property int Id { public get() { int i; this.GetValue("id", i); return i; } } property int Money { publi..
[TIP] 타이머에서 체크목적 전역변수 대신 로컬변수 사용하기
·
소스모드/TIP
타이머를 사용하다보면, 반복 타이머를 필연적으로 사용하게된다. 이때 내부적으로 얼마나 반복되었는지 체크를 하기위해서 전역변수를 만들어서 관리를 하게되는데 아래의 방법은 로컬변수로 체크가 가능한 방법이다. public void Skill8(int Client) { int count = 7; Skill8_1(Client, count); } public void Skill8_1(int Client, count) { count --; if(count
[TIP] 신문법 훅 이벤트 변경점
·
소스모드/TIP
기존 코드와 비교를 해보자. 위가 기존, 아래가 신문법이다. public Action:Event_EntityKilled(Handle:event, const String:name[], bool:dontBroadcast) { new Killer = GetEventInt(event,"entindex_attacker"); if (Killer > MaxClients || Killer < 1) return Plugin_Handled; //code here return Plugin_Handled; } public Action Entity_Killed(Event event, const char[] name, bool dontBroadcast) { int Killer = event.GetInt("entindex_atta..
엘소드 kom 정보
·
정보/게임
What’s inside each .kom file data: 001 - arbor day ui 002 - various skill sprites 003 - ice burner model 004 -in game’s loot model 005 - mobs ruben 006 - mobs elder 007 - mobs besma 008 - mobs peita 009 - mobs altera 1 010 - mobs altera 2 011 - model ally summon 012 - mobs events 013 - model npc 014 - chars dialogue image (epic quest) 015 - model aisha 016 - model accessories 017 - model elsword..
Plugin 'org.apache.maven.plugins:maven-compiler-plugin:' not found 해결법
·
Java Spring/Tip
pom.xml에 메이븐이 작동안할때가 있다. 이럴땐 가장 쉬운 방법은 build를 전부 지우고 디펜던시로 추가해주는것이다. org.apache.maven.plugins maven-compiler-plugin 3.8.1 그리고 메이븐 재빌드를 하면 된다. 그럼 아래와 같이 해결된다. 그외 방법은 스택오버플로우를 참조하길바란다.
[스프링 부트]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0 해결법
·
Spring boot/Tip
스프링 부트 프로젝트 실행하자마자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0 가 뜨는 경우가 있다. 이는 실행은 되었는데 톰캣에 문제가 있는경우다. 주로 프로젝트 생성후 프로젝트를 바로실행하면 이런경우가 많다. 이땐 아래의 의존성을 추가해주자. Gradle 프로젝트 dependencies { implementation 'org.springframework.boot:spring-boot-starter-web' } Maven 프로젝트 pom.xml org.springframework.boot spring-boot-starter-web
3. 게임모드 생성
·
C#/s&box
진행에 앞서 필자가 설명할 방법은 2021년에 애드온을 만들던 방식이다. 위키에 들어가면 더 간편하게 생성하는 법이 올라와있다. 그럼 시작하겠다. 1️⃣ 게임모드 생성 우선 sbox-dev를 실행해주자. Addons > Create New로 만들어주자. 그리고 모드이름과 위치를 설정해주자. 필자는 mygamemode로 만들었다. [메인으로 돌아가기]
2. 개발환경 세팅
·
C#/s&box
1️⃣ 비쥬얼 스튜디오 설치 우선 [비쥬얼 스튜디오 설치 링크]로 들어가주자. 커뮤니티버젼을 설치해주자. 그리고 데스크톱 모바일에서 .Net 데스크톱 개발을 체크 후 설치를 해주자! 설치가 완료 되었다면 다음으로 넘어가자. 2️⃣ s&box 내부 sln파일을 연동 샌드박스가 설치된 폴더로 가주자. 폴더로 가주면 s&box.sln 파일이 있을것이다. 이 파일은 앞으로 비쥬얼 스튜디오로 열것이다. 우선 클릭하여 열어줄 프로그램으로 설정해주자. 설정을 완료 하고 sln파일을 실행해보자. [메인으로 돌아가기]